안전보건/업무29 산업안전보건법 특별교육: 2개 이상 작업 시 교육시간은 어떻게 정해질까? 산업안전보건법 특별교육 대상 작업이 2개 이상일 경우의 교육시간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사업주는 근로자를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에 고용 또는 채용하거나 해당 작업의 내용을 변경할 경우, 필요한 안전보건교육을 꼭 실시해야 합니다. 사업주 뿐만 아니라 관리감독자분들이 잘 챙기시는게 중요하죠. 안전관리자는 관리감독자들이 제대로 교육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제3항에 따라, 특별교육 대상 작업이 2개 이상일 경우 교육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별교육 대상 작업이 2개 이상일 경우의 교육시간 기준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특별교육 대상 일반작업(16시간)이 2개인 경우특별교육 대상 일반작업이 2개인 경우, 각 작업에 대.. 2025. 3. 24.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역할과 의무 산업현장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를 위해 사업주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에서는 이러한 조치의 핵심적인 책임을 지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 대한 규정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람에게 부여되는 역할이며, 산업재해 예방과 근로자의 안전보건 조치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에서 명시하고 있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역할과 의무에 대한 내용입니다.1.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정의 및 필요성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는 인물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각종.. 2025. 3. 18.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의 차이는? 산업 현장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나라에는 여러 가지 법률이 존재한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이다. 두 법은 모두 산업재해를 줄이고 안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적용 범위와 처벌 기준, 책임 주체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렇다면 이 두 법은 무엇이 다르고,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자.1. 산업안전보건법이란?산업안전보건법(이하 산안법)은 1972년 제정되어 시행된 법률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기본적인 법적 틀을 제공한다. 이 법은 사업주가 준수해야 할 안전보건 조치, 근로자의 의무, 정부의 감독 권한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주요 목표.. 2025. 3. 18.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보건표지 설치 의무와 기준 1. 개요산업현장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을 제정하고 사업주가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근로자가 유해하거나 위험한 장소를 쉽게 인지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안전보건표지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보건표지의 설치 의무와 기준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근로자 보호와 기업의 지속 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고자 합니다.2. 안전보건표지란 무엇인가?2.1 안전보건표지의 정의안전보건표지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장소, 시설, 물질 등에 대한 경고, 비상상황에서 대처 방법을 안내하는 지시,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 의식을 고취하는 .. 2025. 3. 18.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법, 절차와 효과적인 활용법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보호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운영되는 중요한 기구입니다. 특히 위원회 회의는 안전 관련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책을 도출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업장에서 형식적인 회의로 그치는 경우가 많아, 효과적인 운영이 중요한 과제가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회의 운영 절차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역할과 법적 근거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에서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기구입니다. 위원회는 사용자 대표와 근로자 대표가 동등한 비율로 구성되며,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련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능을 합니다.위원회의 주요 역할은 다음.. 2025. 3. 18. CR-13 용접봉 속 관리대상 유해물질, 특별안전교육 받아야할까? 법적 규제와 안전조치 1. CR-13 용접봉에 포함된 유해물질CR-13 용접봉에는 다양한 금속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중 일부는 관리대상 유해물질로 분류됩니다. 해당 물질들은 용접 과정에서 증기나 미세 입자로 방출되어 작업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CR-13 용접봉에 포함된 주요 관리대상 유해물질:이산화티타늄(TiO₂, CAS 번호: 13463-67-7)철(Fe, CAS 번호: 7439-89-6)망간(Mn, CAS 번호: 7439-96-5)2. 각 물질의 특성과 유해성(1) 이산화티타늄(TiO₂)이산화티타늄은 백색 안료나 코팅제로 널리 사용되며, 용접봉의 피복재 성분으로도 포함됩니다. 주로 고온에서 가열될 때 미세한 입자로 퍼질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간 노출 시 폐 질환을 유발할 수.. 2025. 3. 1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