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관리기사를 준비할 때 가장 기본이자 필수로 알아야 할 개념이 바로 위험물의 유별, 위험등급, 그리고 지정수량입니다. 이 세 가지는 시험에 자주 출제되며, 산업현장에서 실제로도 매우 중요한 기준이기 때문에 철저히 이해하고 암기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 개념을 간단하고 명확하게 요약해서 정리해드릴게요.
✅ 1. 위험물 유별이란?
위험물은 성질에 따라 6가지 유별(類別)로 분류됩니다. 각 유별은 특정한 성질과 위험성을 가지며,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제1류 | 산화성 고체 | 산소를 발생시켜 다른 물질을 연소시킴 |
제2류 | 가연성 고체 | 마찰이나 충격에 의해 발화할 수 있음 |
제3류 | 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 | 공기 중 자연발화하거나 물과 접촉 시 인화성 가스 발생 |
제4류 | 인화성 액체 | 액체 상태에서 증발되어 불이 붙기 쉬움 |
제5류 | 자기반응성 물질 | 스스로 열을 발생시켜 폭발 위험이 있음 |
제6류 | 산화성 액체 | 산화력이 강하여 연소를 돕는 성질을 가짐 |
이 유별을 이해하는 것은 모든 위험물 관련 문제의 기본입니다. 각각의 유별마다 저장방법, 소화 방법, 취급주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시험뿐 아니라 실무에도 필수적입니다.
🔥 제1류 위험물 – 산화성 고체 (위험등급 기준 정리)
Ⅰ등급 | 아염소산염류 | 50kg | 매우 강한 산화력, 폭발 우려 |
염소산염류 | 50kg | 가열 시 산소 방출, 폭발성 | |
과염소산염류 | 50kg | 가장 산화력이 강함, 폭발 가능 | |
무기과산화물 | 50kg | 자발적으로 산소 발생 가능 | |
Ⅱ등급 | 브롬산염류 | 300kg | 산화성, 화합물 안정도 중간 |
아이오딘산염류 | 300kg | 열에 민감, 산화성 있음 | |
질산염류 | 300kg | 보편적인 산화성 물질, 안정성 좋음 | |
Ⅲ등급 | 중크롬산염류 | 1,000kg | 산화성, 금속 부식성 있음 |
과망간산염류 | 1,000kg | 산화력 있고 수분 흡수성 있음 |
🔥 제2류 위험물 – 가연성 고체 (위험등급 기준 분류)
Ⅰ등급 | |||
Ⅱ등급 |
황화인 | 100kg | 분진 상태에서 인화성 높음 |
적린 | 100kg | ||
황 | 100kg | ||
Ⅲ등급 |
철분 | 500kg | 마찰·가열 시 발화 가능, 금속성 물질 포함 |
금속분 | 500kg | ||
마그네슘 | 500kg | ||
인화성고체 | 1,000 |
🔥 제3류 위험물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Ⅰ등급 |
칼륨 | 10kg | 공기 중 발화 가능, 마찰·충격에 민감 |
나트륨 | 10kg | ||
알킬알루미늄 | 10kg | ||
알킬리튬 | 10kg | ||
황린 | 20kg | ||
Ⅱ등급 | 알칼리금속(K, Na제외) | 50kg | 분진 상태에서 인화성 높음 |
알칼리토금속 | |||
유기금속화합물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제외) | |||
Ⅲ등급 | 금속의 수소화물 | 300kg | |
금속의 인화물 | 300kg | ||
칼슘의 탄화물 | 300kg | ||
알루미늄의 탄화물 | 300kg |
🔥 제4류 위험물 – 인화성 액체 (위험등급 = 인화점 기준)
특수인화물 (최고 위험) | 다이에틸에터,이황화탄소,아세트알데하이드,산화프로필렌 | 50ℓ | 발화점이 100 ℃이하 또는 인화점이 -20 ℃아하이고 비점이 40 ℃이하인것 |
알코올류 |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 400ℓ | |
제1석유류(비수용) | 벤젠, 톨루엔, 시안화수소(청산) | 200ℓ | 인화점 21℃ 미만 |
제1석유류(수용) | 아세톤(티메틸케톤), 피리딘, | 400ℓ | |
제2석유류(비수용) | 클로로벤젠, 등유, 경유 | 1,000ℓ | 인화점 21~70℃ 미만 |
제2석유류(수용) | 의산, 초산(아세트산=빙초산), | 2,000ℓ | |
제3석유류(비수용) | 중유, 클레오소트유, 아닐린 | 2,000ℓ | 인화점 70~200℃ 미만 |
제3석유류(수용) | 글리세린(글리세롤),에틸렌글리콜, 나이트로벤젠 | 4,000ℓ | |
제4석유류 | 기어오일, 실린더유 등 | 6,000ℓ | 인화점 200℃~ 250℃ 이상 |
동식물유 | 콩기름, 들기름 등 | 10,000ℓ |
🔸 인화점이 낮을수록 위험등급이 높고 지정수량은 적습니다.
🔥 제5류 위험물 – 자기반응성 물질 (충격·열에 의한 폭발 위험) 개정사항 꼭 확인!
Ⅰ등급 | 질산에스터류, 나이트로화합물 | 10kg | 스스로 산소 방출, 열·충격에 민감 |
Ⅱ등급 | 유기과산화물 | 100kg | 폭발성 있음, 독성도 있음 |
🔥 제6류 위험물 – 산화성 액체
Ⅰ등급 (강산화성) | 과염소산 | 300kg | 고온 시 폭발 위험, 강한 산화력 |
과산화수소 (36% 이상) | 300kg | 유기물 접촉 시 발열·폭발 | |
질산 (비중 1.49이상) | 300kg | 산화성 강함, 금속과 반응 가능 |
✅ 2. 위험등급이란?
특히 제4류 위험물인 인화성 액체의 경우, 인화성의 강도에 따라 위험등급이 나뉩니다. 온도에 따라 얼마나 쉽게 불이 붙는지를 기준으로 등급을 정해 놓은 것이죠.
1등급 | 특수인화물 | 섭씨 0도 이하 & 끓는점 35도 이하 | 디에틸에테르 |
2등급 | 제1석유류 | 인화점 21도 미만 | 가솔린, 벤젠 |
3등급 | 제2석유류 | 인화점 21도 이상 70도 미만 | 등유, 경유 |
4등급 | 제3석유류 | 인화점 70도 이상 200도 미만 | 중유 |
5등급 | 제4석유류 | 인화점 200도 이상 | 기어오일 |
6등급 | 동식물유 | 인화점 250도 이하 | 콩기름, 생선기름 |
인화점이 낮을수록 쉽게 불이 붙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고 볼 수 있어요. 시험에서는 이 인화점 범위와 예시 물질을 정확히 외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 3. 지정수량이란?
지정수량이란, 위험물로 지정된 물질이 일정 수량 이상일 때 관리가 의무화되는 기준입니다. 이 수량을 초과하면 소방시설 설치, 위험물 저장소 확보, 허가 및 신고 등의 규정을 따라야 해요.
예를 들어,
- 휘발유(제4류 제1석유류)의 지정수량은 200리터
- 디젤(경유, 제4류 제2석유류)의 지정수량은 1,000리터
- 황린(제3류 자연발화성 물질)의 지정수량은 20킬로그램
만약 어떤 작업장이 휘발유를 250리터 보관하고 있다면, 지정수량을 초과한 것이므로 위험물 안전관리자의 관리 하에 적절한 조치가 이뤄져야 합니다. 시험에서는 각 유별별 주요 물질의 지정수량을 묻는 문제가 자주 나오기 때문에 대표 물질 중심으로 외우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4. 정리 요약 암기 팁
- 유별은 1~6류까지, 성질로 분류된다는 점 기억!
- 제4류는 인화성 액체이며 위험등급에 따라 세분화됨
- 지정수량은 그 이상부터가 관리 대상!
암기 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연상법을 활용해보세요:
- "산가자인자산" → 산(산화성 고체), 가(가연성 고체), 자(자연발화성/금수성), 인(인화성 액체), 자(자기반응성), 산(산화성 액체)
- “가디” = 가솔린은 제1석유류, 디젤은 제2석유류
✅ 마무리하며
위험물관리기사 시험에서는 이처럼 위험물의 유별, 등급, 지정수량을 바탕으로 응용 문제들이 자주 출제됩니다. 단순히 외우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각 위험물의 특성과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꼭 개념을 정확히 잡고 반복 학습을 통해 암기력을 높이세요.
이 글이 시험 준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음에는 위험물 저장·취급 방법도 정리해드릴게요!
2025.03.10 - [안전보건/자격증] - 위험물산업기사 어디서 활용이 가능할까?
위험물산업기사 어디서 활용이 가능할까?
위험물 산업기사 자격증은 위험물 관리와 안전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격증으로, 화학, 제약, 석유화학,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자격증은 위험물
hoyeong2.com
2025.03.21 - [안전보건/자격증] -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기준 및 자격 요건 총정리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기준 및 자격 요건 총정리
소방안전관리자란?소방안전관리자는 화재 예방과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전문가로, 건축물의 소방시설 유지·관리, 화재 예방 대책 수립 및 훈련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화재예방, 소방시설
hoyeong2.com
2025.01.08 - [안전보건/자격증] - 안전관리자 자격증, 보건관리자 자격증, 선임시 필요한 자격증 정리
안전관리자 자격증, 보건관리자 자격증, 선임시 필요한 자격증 정리
산업안전기사 건설안전기사 위험물산업기사 대기환경기사 인간공학기사 산업위생기사 소방설비기사안전관리자의 수요와 몸값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은 최근 안전분야에서 큰 이슈로 떠오
hoyeong2.com